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요즘 미국 대선판은 인터넷 유행 컨텐츠를 뜻하는 '밈' 전쟁이 한창입니다. <br> <br>이상한데 웃긴 각종 밈 영상에 젊은 세대들이 열광하고 있는겁니다. <br> <br>세계를보다, 최수연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[카멀라 해리스 / 미국 부통령 (지난해 5월)] <br>"(저희 어머니는 이렇게 말하셨어요.) 네가 방금 코코넛 나무에서 떨어졌다고 생각하니? 하하." <br> <br>모든 존재는 하늘에서 뚝 떨어진 것이 아니라 거대한 흐름 속에 연관돼 있다며 '코코넛 나무'를 언급한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. <br><br>이 발언이 그의 재밌는 몸동작과 어우러지면서 패러디물이 SNS를 중심으로 인기를 얻었습니다.<br><br>이른바, 인터넷 유행 콘텐츠로 불리는 '밈(Meme)'입니다.<br> <br>최근 해리스가 민주당 유력 대선 후보로 떠오르자 코코넛과 야자수 사진은 그를 지지하는 상징물이 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미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'흑역사'까지 밈으로 활용하거 있습니다. <br> <br>미 대선 결과 뒤집기 혐의로 법정 기소된 뒤 촬영한 ‘머그샷’이 온라인에 밈으로 재생산 됐는데 아예 이를 상품으로 만든 겁니다. <br> <br>[트럼프 지지자] <br>"(이 티셔츠의 트럼프는 뭘 하는 건가요?) 이건 머그샷이에요!" <br><br>MZ세대 유권자를 파고드는 정치인 관련 밈은 특히 인스타그램이나 틱톡을 중심으로 확대 재생산되고 있는데요. <br> <br>이렇다보니 뉴스를 접하는 SNS 역시 X나 페이스북 보다 인스타그램과 틱톡 이용률이 눈에 띄게 늘고 있습니다. <br> <br>정책의 변화도 일으킵니다. <br><br>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최근 방위비 증액을 위한 세금 증세 계획을 발표했다가 "안경 쓴 총리가 세금을 더 걷는다"며 비난 밈이 유행하자 정책을 바꾸기도 했습니다.<br> <br>반대로 의도치 않은 결과를 낳기도 합니다. <br> <br>[조르자 멜로니 밈] <br>"나는 조르자입니다. 여자고 엄마이며 기독교인입니다." <br> <br>하우스 비트에 마치 랩을 하는 것 같은 이탈리아 보수 정치인 조르자 멜로니의 밈은 당초 성소수자에 적대적인 그를 비난하기 위해 만들어졌지만 오히려 인기를 얻었고 이후 그는 총리 자리까지 오르게 됩니다. <br> <br>[조진만 / 덕성여대 교수] <br>"양날의 칼 같은 느낌이 있어요. 주객이 전도된 상황, (선거에서) 내용의 본질보다는 감정적인 부분에 (유권자들이) 반응하게 되는 부분들이 있는 거죠." <br> <br>스마트폰 시대 밈은 감각적이고 친근한 콘텐츠로 파급력을 가지지만 일각에서는 이미지 정치만 극대화 한다는 지적도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수연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: 김민정<br /><br /><br />최수연 기자 newsy@ichannela.com